fnctId=bbs,fnctNo=80
- 글번호
- 29537
‘전남 농경유산’ 가치 집중 조명
- 작성일
- 2025.09.10
- 수정일
- 2025.09.10
- 작성자
- 운영자02
- 조회수
- 27
전라남도농업박물관이 전남지역의 소중한 유·무형의 농경유산을 집중 조명하기 위한 현지조사와 연구서적 발간 등 활동에 본격 나선다.
농업박물관은 올해 말까지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선정된 완도 청산도 구들장논 등 전남지역 농경유산 가치를 조명하기 위한 현지 조사를 추진한다.
농업박물관은 이번 현지조사를 통해 전남 농경유산에 대한 선행연구 등 기초 사료 조사와 전승자 등을 중심으로 현장 인터뷰 등을 함께 진행해 전남 농경문화에 대한 역사적 가치를 조명할 방침이다.
현지조사는 세계중요농업유산과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완도 청산도 구들장논과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인 진도 아리랑, 국가무형유산인 남도들노래 등 20여개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농업박물관은 또 기록화 작업을 통해 향후 연구 서적 등을 함께 발간하는 등 전남의 농경문화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공유하는 기회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농도’인 전남은 전국을 대표하는 곡창지대를 기반으로 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유산을 대거 보유해 전 세계적 가치와 의미가 높은 지역이다.
김옥경 전라남도농업박물관장은 “전남 농경유산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세계화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현지 조사와 함께 사료분석을 위한 기록화 작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향후 전남 농경문화유산에 대한 연구서적 등도 함께 발간해 전남의 소중한 농경유산을 함께 공유하고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농업박물관은 올해 말까지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선정된 완도 청산도 구들장논 등 전남지역 농경유산 가치를 조명하기 위한 현지 조사를 추진한다.
농업박물관은 이번 현지조사를 통해 전남 농경유산에 대한 선행연구 등 기초 사료 조사와 전승자 등을 중심으로 현장 인터뷰 등을 함께 진행해 전남 농경문화에 대한 역사적 가치를 조명할 방침이다.
현지조사는 세계중요농업유산과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된 완도 청산도 구들장논과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인 진도 아리랑, 국가무형유산인 남도들노래 등 20여개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농업박물관은 또 기록화 작업을 통해 향후 연구 서적 등을 함께 발간하는 등 전남의 농경문화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공유하는 기회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농도’인 전남은 전국을 대표하는 곡창지대를 기반으로 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유산을 대거 보유해 전 세계적 가치와 의미가 높은 지역이다.
김옥경 전라남도농업박물관장은 “전남 농경유산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세계화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현지 조사와 함께 사료분석을 위한 기록화 작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향후 전남 농경문화유산에 대한 연구서적 등도 함께 발간해 전남의 소중한 농경유산을 함께 공유하고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